테슬라 머스크 로보택시 출시
출시 일정 및 주요 내용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25년 6월 22일(현지시간)부터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무인 완전자율주행 택시 서비스인 ‘로보택시’를 공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단, 안전 문제 등으로 인해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 6월 28일부터는 테슬라 차량이 공장에서 고객 집까지 자율주행으로 직접 배송되는 서비스도 시작될 예정이다.
- 초기에는 약 10~20대의 모델Y 차량이 제한된 오스틴 지역에서 유료 서비스로 운행되며, 수개월 내 1,000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후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샌안토니오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넓힐 방침이다.
- 테슬라 로보택시는 기존 웨이모, 바이두 등과 달리 차량 소유주가 자신의 테슬라 차량을 로보택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즉, 차주가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자율주행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머스크는 차주가 연간 3만 달러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술적 특징
- 테슬라 로보택시는 실시간 AI 기반 8개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해 도로와 환경을 인식, 별도의 정밀 지도 없이도 다양한 도로에서 운행이 가능하다. 이는 지도 기반의 웨이모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 오스틴 시정부는 테슬라를 공식 자율주행차 운영업체로 등재했고, 5월 말부터 안전 운전자 없이 시험 운행이 진행 중이다.
시장 전망 및 경쟁 구도
- 월스트리트 주요 투자은행들은 로보택시 성공 시 테슬라의 시가총액이 2조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매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웨드부시증권은 테슬라 목표주가를 기존 350달러에서 50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AI와 자율주행만으로도 1조 달러 이상의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평가했다.
-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자율주행차 관련 규제 완화가 예상되며, 이는 테슬라의 시장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테슬라의 로보택시 진출은 이미 치열한 글로벌 경쟁 구도(중국 바이두, 구글 웨이모 등)에 새로운 변수를 제공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 바이두는 이미 100% 무인 로보택시 상용화에 성공한 상태다.
테슬라 주가 영향
-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소식에 테슬라 주가는 5.7% 급등, 326.09달러로 마감하며 시가총액이 다시 1조 달러를 넘어섰다.
- 투자자들은 로보택시가 테슬라의 미래 성장동력임을 기대하며, 성공 시 주가와 기업가치가 대폭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요약
테슬라의 로보택시 서비스는 2025년 6월 22일 오스틴에서 첫 선을 보이며, 완전자율주행차 기반의 무인 택시 상용화 시대를 연다. 초기에는 소규모로 시작해 수개월 내 1,000대까지 확대 예정이며, 성공 시 테슬라의 기업가치와 주가에 큰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안전성과 규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한국 자율주행 관련 주요 상장사
기업명 | 종목코드 | 주요 분야 및 특징 |
현대자동차 | 005380 | 완성차 대표주, 미국 모셔널과 협력해 레벨4 자율주행 기술 개발 중, 로보택시 상용화 추진, 글로벌 시장 공략 |
삼성전자 | 005930 | 자율주행용 차량용 반도체 및 프로세서(Exynos Auto), 5G V2X 통신 기술 개발, AI 및 데이터 처리 강점 |
LG이노텍 | 011070 | 자율주행 카메라 모듈 선도기업, 차량용 광학부품 공급 |
모트렉스 | 118990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 및 ADAS, HUD 개발, 현대기아차 납품, 자율주행 물류차량 개발 협력 |
퓨런티어 | 370090 | 자율주행 카메라 모듈 검사장비 전문, 테슬라 로보택시용 카메라 모듈 관련 수혜 기대 |
라닉스 | 코스닥 | 무선통신 및 V2X 통신 솔루션 개발, 지능형 교통시스템 핵심기술 보유 |
LG전자 | 코스피 | 글로벌 기업과 자율주행차 개발 협력, ADAS 핵심부품 공동 개발 |
나무가 | 코스닥 | 자율주행용 카메라 모듈 생산 및 공급 |
드림텍 | 코스닥 | 차량용 LED 모듈 및 ADAS 관련 모듈 공급 |
에이알엔텍 | 코스닥 |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및 항법 센서 제조 |
엔유엘 | 코스닥 | 자율주행 및 산업용 라이다 센서 개발 |
보스반도체 | 코스닥 | 차량용 AI 반도체 및 자율주행 관련 반도체 개발 |
서울바이오시스 | 코스닥 | 자율주행 적용 차세대 빅셀 기술 보유 |
스트라드비젼 | 상장 준비 중 | 자율주행 비전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CES 2025에서 ADAS 솔루션 선보임 |
이외에도 자율주행 관련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이 상장 준비 중이거나 코스닥 시장에 다수 포진해 있습니다. 이들은 자율주행차용 센서, 소프트웨어, 통신, 인포테인먼트, 검사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요약
한국 자율주행 관련 상장사는 2025년 현재 약 55개 종목이 자율주행 테마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글로벌 협력과 기술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에 대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