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서 콜옵션 및 풋옵션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다음에서 옵션과 선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옵션(Option)과 선물(Futures)의 정의
옵션(Option)
- 옵션은 특정 기초자산(주식, 지수, 원자재 등)을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또는 그 이전)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주고받는 계약입니다. 옵션의 가장 큰 특징은 ‘권리’만 있고, 반드시 행사할 의무는 없습니다.
선물(Futures)
- 선물은 미리 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실제로 인수·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의무가 있는 표준화된 계약입니다. 즉, 선물은 반드시 계약을 이행해야 하는 점이 옵션과 다릅니다.
옵션과 선물 종류
옵션의 종류
구분 설명
콜옵션 | 기초자산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옵션. |
풋옵션 | 기초자산을 정해진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옵션. |
- 콜옵션(Call Option): 예를 들어, 주식 1주를 5만 원에 살 수 있는 콜옵션을 보유했다면, 실제 주가가 6만 원이 되면 옵션을 행사해 5만 원에 매수 후 6만 원에 팔아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주가가 4만 원으로 떨어지면 옵션을 행사하지 않아도 됩니다.
- 풋옵션(Put Option): 주식 1주를 5만 원에 팔 수 있는 풋옵션을 보유했다면, 실제 주가가 4만 원으로 떨어졌을 때 옵션을 행사해 5만 원에 팔아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가가 6만 원이 되면 옵션을 포기하면 됩니다.
옵션은 권리만 있고, 의무는 없으나, 옵션 매도자는 옵션 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할 경우 반드시 응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선물의 종류
구분 설명
상품선물 | 농산물(밀, 옥수수 등), 원유, 금 등 실물자산을 기초로 한 선물. |
금융선물 | 주가지수, 금리, 통화, 채권 등 금융자산을 기초로 한 선물. |
암호화폐선물 | 비트코인 등 디지털자산을 기초로 한 선물. |
- 선물계약은 거래소에서 표준화된 조건(수량, 품질, 인도일 등)으로 거래됩니다.
- 선물은 거래 당사자 모두에게 이행 의무가 있어, 만기일에 반드시 계약을 이행해야 합니다.
옵션과 선물의 주요 차이점
구분 옵션 선물
권리/의무 | 권리만 있고 의무는 없음 (매수자 기준) | 매수/매도자 모두 이행 의무 있음 |
행사 | 행사 여부는 매수자 선택 | 만기 시 반드시 이행 |
프리미엄 | 매수자가 옵션 프리미엄(가격)을 지불 | 별도의 프리미엄 없음 |
손익구조 | 프리미엄만큼 손실 제한, 이익은 무한 가능(콜옵션 기준) | 이익과 손실 모두 무제한 가능 |
적용방안 및 활용사례
위험회피(헤지)
- 옵션과 선물 모두 가격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농민은 곡물 가격 하락에 대비해 곡물선물을 매도하거나, 주식 투자자는 주가 하락 위험을 풋옵션 매수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투기 및 차익거래
-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해 수익을 노리는 투기적 거래에도 활용됩니다. 선물은 레버리지를 활용해 적은 자본으로 큰 거래가 가능하며, 옵션은 소액의 프리미엄만으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관리
- 옵션은 포트폴리오의 하방 위험을 제한하거나, 추가 수익(예: 커버드 콜 전략)을 추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시장 유동성 및 가격 발견
- 선물시장은 다양한 투자자들이 참여해 시장 유동성을 높이고, 미래 가격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반영하는 가격발견 기능을 수행합니다.
요약
- 옵션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계약(콜옵션/풋옵션).
- 선물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자산을 반드시 사고팔아야 하는 의무가 있는 표준화된 계약(상품선물/금융선물 등).
- 둘 다 위험회피, 투기, 차익거래, 포트폴리오 관리 등 다양한 금융 전략에 활용됩니다.
위에서 옵션과 선물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대비 리스크가 크니 많이 준비하고 확실히 이해되었을 때 투자에 임해야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