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을 식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지선(Support)
주가가 하락하다가 멈추고 반등하는 가격대입니다. 이 가격대에서는 매수세가 강해 주가 하락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차트에서 과거에 주가가 여러 차례 하락 후 반등한 저점들을 연결하면 지지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지지선은 주가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반등할 가능성이 높은 ‘바닥’ 역할을 합니다. - 저항선(Resistance)
주가가 상승하다가 멈추고 하락하는 가격대입니다. 이 가격대에서는 매도세가 강해 주가 상승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차트에서 과거에 주가가 여러 차례 상승 후 하락한 고점들을 연결하면 저항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저항선은 주가가 더 이상 오르기 어려운 ‘천장’ 역할을 합니다. - 식별 방법
- 과거 고점과 저점 확인: 차트에서 주가가 여러 번 반등하거나 하락을 멈춘 가격대를 찾아 연결합니다.
- 가격이 여러 차례 해당 가격대에 접근했는지 확인: 가격이 두 번 이상 해당 수준에 닿으면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추세선 활용: 상승 추세에서는 연속된 저점을 연결해 상승 추세선(지지선)을, 하락 추세에서는 연속된 고점을 연결해 하락 추세선(저항선)을 그립니다.
- 이동평균선 활용: 이동평균선(예: 50일, 200일)이 주가 아래에 있으면 지지선, 위에 있으면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가격 돌파 후 역할 전환: 주가가 지지선을 하락 돌파하면 그 지지선은 새로운 저항선이 되고, 저항선을 돌파하면 새로운 지지선이 됩니다.
- 주의점
지지와 저항선은 정확한 선이라기보다 가격이 반응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 이해해야 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량과 함께 분석하면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주식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은 과거 주가가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반전한 가격대를 중심으로 식별하며, 추세선과 이동평균선 등 기술적 도구를 활용해 확인합니다. 이 수준들은 투자자들이 매수·매도 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기준점으로 작용합니다.